삶을 바꾸는 정치, 정치를 바꾸는 시민

                           노동사목부 한유리 

우리의 마음을 모아 시작 기도로 시작하였습니다.

날씨가 갑자기 추워졌음에도 빠짐없이 오신 수강생 분들이 대단 해 보였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성당을 따뜻하게 해 놓고 기다리신 원당동 사무장님께 감사하더라구요.

유범상 강사님은 퀴즈로 시작하셨습니다. ‘정치와 무관한 것이 세상에 있을까?’ 문제를 맞추고 정답을 찾는 행위에 익숙한 우리 수강생들은 예시를 뚫어져라 보았지만 알쏭달쏭했습니다. 물론 답은 세상에 정치와 무관한 것은 없다.’였습니다. 현재 우리는 생각하고 말하는 호모폴리티쿠스(정치하는 인간)가 아니라 호모 이코노미스(이익, 경제활동을 하는 인간)로만 강요 받는다고 하였습니다.

역사적으로 중세까지는 생각과 말은 하느님만 하시고 그것을 대변하는 성직자가 제1신분이었고 근대로 넘어오면서 모든 사람이 생각하고 말하고 정치하는 인간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나치 정권 히틀러도 그렇고 우리 박정희 시대 때도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나 그 국민의 말과 생각을 규정하는 권력(강사님은 달을 가리키는 달달놈이라고 하셨습니다.)을 보았을 때 과연 누가, 어떻게 정치해야하는가?’우리는 누구나 성실하고 시키는대로 일만했는데 우리가 창출한 권력이 사람을 죽이고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었으면? 그리고 시키는 대로만 하게끔 훈련받아 생각하고 말하는 능력을 상실했습니다. 묵인하는 것도, 반대하는 것도, 찬성하는 것도 그 모든 것이 저어치적 행위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핵심 질문은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와야 하는데 어떤 국민이 되어야 하나?’

순응만 하고 비판이 없는 시민으로만 교육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순응은 우파, 비판은 좌파라고 색깔론이 입혀집니다. 생각하지 못하고 생각 되어집니다. 순응은 제도와 틀에 맞춰지는 것이고 비판은 돌아보고 기존의 생각을 되짚어 볼 수 있는 것으로 우리에게는 순응에서 벗어날 수 있고 순응의 틀이 넓은 체제에서도 그 틀을 넓힐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상상력을 가져야 합니다. 통에 순응하기만 하면 달라지지가 않습니다. 통을 넓히든 통을 벗어나야 합니다. 이것이 정치입니다. 비판하고 상상할 수 있는 생각하고 말하는 시민 되기!

선성장 후분배, 선별적 복지로 통을 제한하는 것은 호모이코노미스를 권장하는 모습입니다. 통을 넓히고 스스로 비판하는 시민이 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필요한 재정을 물으면 부자들에게 걷으면 됩니다. 이것을 뒷받침하는 논리는 베버리지 보고서의 가난, 질병, 불결, 무지, 무위(실업)을 개인이 해결할 것이 아니라 국가가 함께, 국민이 함께 책임지고 해결하기 위해서 부자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걷고 그것으로 취약계층도 살리고 부자도 손해보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것이 어려서부터 교육으로 체화되어 학력 차별도 없고 직업의 귀천도 없습니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위해서는 재정의 문제만 볼 것이 아니라 그러한 시민을 교육하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큰 사건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는 촛불입니다. 작은 사건들이 있어야 하고 그 사건 이전에 더 많은 징후들이 존재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작은 공동체부터 대상화되지 말고 생각하고 말하는 학습 동아리 활동 정치 써클 활동을 하여 이야기들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들어 노인 복지관에 청소년들이 봉사오는데 어느 어르신이 더 이상 우리를 돌보지 말고 지역사회를 돌보자고 하여 함께 쓰레기를 줍고 화단을 가꾸는 일을 하였다고 합니다. 어르신들이 바리스타 자격을 취득하고 대학 앞에서 힘내라 청년들이란 선전물을 붙이고 차를 나눠주고 소통하며 의회에 모니터단으로 활동하여 목소리를 전한다고 합니다. 이것이 수천의 징후가 되고 사건으로 모아지고 결정적 변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치하는 시민, 깨어있는 시민이 되어야 합니다.

질문시간에는 강사님 나이를 물어보셨는데, 이 부분에서 늙은이, 젊은이를 생각과 몸으로 함께 표현해야 한다고 하시면서 본인은 젊은 젊은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한국 정치의 이데올로기적 한계인 자유주의 일색에서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있는 비판의 소중함을 한 번 더 이야기 하시고 제도만 탓해서는 안 되고 시민사회가 달라지지 않으면 마찬가지 이니 우리의 역할을 강조하셨고 성당에서도 사제와 평신도의 역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의견이 추가로 제시되었고 이 부분은 다음 평신도 역할강의와 수료 미사 때 추가로 이야기 하기로 하고 강의를 마쳤습니다.

긴 강의에도 호응이 좋았으며 마침 기도를 감사한 마음으로 드리며 마무리 하였습니다.

 

+ Recent posts